종합건설의 집 짓기, 건축주, 시공자 모두에게 불행한 일
종합건설은 구조상 대형 프로젝트에 적합한 조직입니다. 조금 거칠게 표현하자면 단독주택을 종합건설이 지을 이유도 전문성도 없는 것이 냉정한 현실일 것입니다.
전체 공사비가 똑같다고 할 때, 종합건설은 간접비, 요율 산정 경비 등이 높을 수밖에 없음으로 건축물의 품질에 해당하는 직접공사비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소규모 건설업의 필요성이기도 합니다.
무엇보다 남는게 별로 없음으로 종합건설이란 조직은 소규모 건축물을 짓기에 부적합하다는 것입니다.
상위 몇 군데 종합건설을 제외하면 소규모 건축물 시장의 종합건설은 대부분 영세하고 과거의 관습에서 혁신하고 있지 못한 영세업체일 뿐입니다.
집짓기에서 상식적이지 못한 황당한 일들이 종종 발생하는 것은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닌 것입니다.
정합성을 갖춘 설계 도면 생산조차 쉽지 않은 건축사
목구조가 국내 도입된지 30년이 되어가지만 목구조에 대한 인식은 그렇게 좋지 못한 것이 시장의 현실입니다. 장점보다 단점이 훨씬 많이 부각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건축사 역시 정합성을 갖춘 목구조 도면을 생산할 수 있는 설계사무소는 10%도 채 되지 않습니다. 제대로 된 설계도면을 생산할 수 없으니, 실효성 있는 감리가 불가능합니다.
목조주택 시장의 시공에 대한 전문성은 대다수 개인 빌더들의 역량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안타깝지만 현실인 것입니다.
전문적인 공학적 판단이 아닌 목수 개개인의 역량에 의존하다보니 목조주택의 장점보다 단점이 부각될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소규모 건축물의 체계적인 설계 프로세스가 필요하지만, 설계사무소 역시 혁신 없이 관행과 관습에 의한 자의적인 프로세스일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소규모 건축물이 설계, 시공이 어려운 이유
소규모 건축물의 설계, 시공이 어려운 이유는 설계자, 시공자 개인 주체들이 모든 것을 해결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대형 프로젝트는 조직 내 전문가들의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문제 해결을 찾아가지만, 소규모 프로젝트의 경우 개인 주체가 그 모든 것들에 대한 솔루션을 찾아야 하는 것입니다.
오랜 경험과 저마다의 고유한 노력을 통한 시스템의 축적이 가능할 때 원할한 업무 진행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소규모 건축물 시장은 상대적으로 제도적, 시스템적 보완책이 미흡한 만큼 설계, 시공 개인 주체들의 전문성과 서비스 마인드가 중요한 요소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무엇보다 대형 프로젝트의 경우 불특정 사용자를 전제하지만 소규모 건축물의 경우 대부분 구체적인 개인 건축주가 있는 만큼, 설계, 시공 업무 과정에서 차이점이 있을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전문성과 또 다른 서비스 및 비즈니스에 대한 전문성이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